결론부터 말하자면 올해는 이더리움의 해라고 생각함. 그렇다고 사라는 뜻도 아니니까 오해는 하지 말았으면 함. 전혀 투자 조언 아니고, 뭘 행동하라고 명령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내 생각이자 낙서장일 뿐임.
7월 5일 새벽에 200시간 선 맞고 반등했고
7월 6일 밤에도 비슷한 선, 약간 높인 저점에서 반등을 줌.
일봉을 보면 계속 저점을 올리는 중이고 저항선에서는 반등을 주고 있음. 2800 전고점을 뚫고 올라간다면 속도내고 올라갈 가능성이 보임. 근데 그와 관련해서 촉매제로 작용할만한 이벤트가 곧 다가오고 있음.
이더리움과 관련된 법안 "Genius Act"가 미 상원에서 통과과 6월에 됐음. 상원 (Senate)을 통과하면 하원 (House of Representatives)으로 가서 법이 통과가 되어야 하고, 7월 14-18일 사이에 표결을 할 예정임. 한국에서는 뭐라 불러야 할지 모르겠음. 천재 법안? 지니어스 법안? 아무튼 그냥 영어로 적으려고 함.
https://www.lawtimes.co.kr/LawFirm-NewsLetter/209226
관련 기사에서는 분산형 금융 확장을 촉진할 것이라고 나오는데, 일단 법안이 의미하는 바가 상당히 크다고 생각함. 우선 대금 결제를 스테이블코인으로 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 매력적임.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활성화 된다면 이런 스테이블코인을 운용하는 체인들의 결제 수수료가 늘어나고, 스테이킹으로 네트워크 관리를 하는 이더리움같은 체인 위에서는 이더리움을 보유하는데 상당한 이점이 발생함.
https://www.ainvest.com/news/tom-lee-predicts-800-stablecoin-growth-boosting-ethereum-2507/
이번에 톰 리 (Tom Lee)가 비트마인 이머젼 테크놀로지 (BitMine Immersion Technologies, BMNR)의 경영 이사로 들어가면서 비트코인 대신 이더리움으로 마이크로스트래티지 (Microstrategy Incorporated, MSTR)와 같은 전략을 사용하겠다고 선언을 했음. BMNR은 원래 비트코인 채굴 기업이었는데 갖고 있는 자산 다 이더리움으로 전환할거라고 선언함. 전에 뉴스에서는 약 $250M 정도 규모의 이더리움을 매수했다고 했음.
개인적으로 이건 엄청나게 똑똑한 전략이라 생각함. 이유는 크게 두 가지라 생각함.
첫번째는 위 법안과 관련이 있는데, 법안이 통과되면 USDT, USDC와 같이 널리 사용되는 달러 스테이블코인들이 법정화폐 지위를 얻는 길이 발생함. 상당히 의미가 있는게 현재로는 암호화폐의 거래 수단으로만 활용이 대부분이었지만 실물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화폐로 올라간다는 것. 활용처가 늘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됨. 예시로는 공식적으로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담보로 사용되거나, B2B/C2B/B2C 대금 지급에 사용이 되거나, 스테이블코인 기반 체크카드/신용카드 등으로 활용이 될 수 있다는 것. 이를 기반으로 이더리움 체인 위에서의 결제량이 늘어나면 블록 검증의 참여자들은 수수료 수익이 더 증가하게 됨. 이러한 이유가 있어서 톰 리는 은행들이 이더리움과 같은 코인을 투자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는 것임. 더불어 실물 경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꺼냈음.
두번째는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다르게 PoS (Proof of Stake) 방식으로 블록을 검증하는 방식임. 디테일한 것은 뭐 다른 전문가들이 설명하겠지만 가장 큰 이점은 비싼 장비가 필요 없음. 비트코인 채굴 기업들의 고질적인 문제점이 있는데, 계속해서 더 좋은 장비들이 채굴 경쟁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기세 뿐만 아니라 채굴에 필요한 부지, 장비 업그레이드 비용등 때문에 지속적인 투자를 해야 하는 사업임. 이런 요소가 수익성에 솔직히 안 좋다고 생각함. 비트코인 가격이 올라갈 때는 아주 큰 상관은 없는데 횡보하거나 내려갈때는 큰 문제가 됨. 또 이런 문제 때문에 자꾸 주식을 발행하면서 가치 희석이 발생하고, 이익이 간헐적으로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음.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식 수급이 매번 꼬인다는 문제가 있음. 그래서 MSTR과 같이 순수하게 비트코인을 모으는 기업을 채굴 기업들의 주식들이 못 따라가는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음.
트럼프는 이 Genius Act가 하원에서 통과되면 즉시 서명을 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가 있음. 심지어 트럼프 아들이 만든 월드리버티파이넨셜 (World Liberty Financial)의 지갑에는 이더리움이 상당 비중 (약 30%?) 정도 차지하고 있음. 여기도 USD1이라는 이더리움 기반 달러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관련된 사업을 준비중임.
어쨌든 대충 이것과 관련해서 돌아가는 상황을 잘 정리해보았고 알아서 잘 판단할 필요가 있음.
'주식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릿지바이오 파마 업데이트 (BBIO) [한국 주식 아님] (0) | 2025.04.28 |
---|---|
예측 불가능한 시장 상황 (0) | 2025.02.27 |
트럼프의 시대 (2) - 관세, 어떤 종목을 봐야할까? (2) | 2025.02.10 |
트럼프의 시대 (1) - 천연가스와 에너지 (4) | 2025.02.06 |
1월에 보고 있던 종목들 (5) | 2025.01.31 |